Workplace Social SaaS

Town

현대의 직장 문화는 기술의 발전으로 업무의 효율성은 높아졌지만, 그와 동시에 팀원들 간의 진심 어린 소통과 유대감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어요. 서로 연결되고 대화하는 조직 문화는 단순히 생산성을 넘어, 창의성과 혁신을 촉진하고, 이직률을 낮추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죠.

타운은 사람들이 직장에서 보내는 시간을 더 보람차고 행복한 시간으로 만드는 데 함께하고 싶어요. 팀원들이 서로를 지지하고 동료애를 느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앞으로는 더 많은 기업들이 직원의 행복을 추구하며, 그것이 만들어내는 건강한 성과를 경험하길 바라요.

작은 관심과 인정이 사람들에게 큰 힘이 되어, 놀라운 변화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믿습니다.

Client:

Internal Project

Year:

2024

Design:

Framer, Figma, Illustrator, After Effects

Development:

Next.js, JavaScript DB, Supabase, PostgreSQL, PWA, React Query, React Hook Form

Service

Design 타운은 팀원 간의 자연스러운 소통과 유대감을 형성하는 데 초점을 맞춘, 일상 속 부담 없는 가벼운 연결을 위해 설계된 서비스에요. 일반적인 업무용 소통 툴이 정보 전달과 협업에 초점을 맞춘다면, 타운은 그 너머의 관계 형성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어요.

Development 타운은 개인 취향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 다양한 테마를 제공해요. 각 테마는 세계 곳곳의 주요 도시를 연상케하는 색상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Radix UI와 Theme를 통해 다크모드와 함께 다양한 색상들을 커스텀으로 설정하여 손쉽게 제공하도록 구현했습니다. 그리고 다양한 기능을 갖는 여러 카드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UI Kit 및 컴포넌트로 잘 정리하였으며 Radix UI와 Tailwind CSS를 통해 원하는 디자인대로 기능은 빠르게 구현하였습니다.

Design 카드 모양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포스트잇 붙이듯 가볍게 글을 올리며, 매일 새로운 대화 주제를 던져주는 '랜덤 질문 카드'와 '지목 질문 카드', 주마다 서로에게 감사와 피드백을 전하도록 유도하는 '당근 카드' 등 다양한 타운 카드로 다채롭게 소통해요.

Development 당근 카드나, 지목 질문, 랜덤 질문과 같은 타운 카드들은 AWS Lambda를 통해 1-2주에 한 번씩 정해진 시간에 생성돼요. 또, WebSocket으로 접속 중인 사용자를 표시해주고 알림도 보내주며 실시간 통신을 지원합니다.

여기에 더해진 슬랙 인터그레이션으로 타운 알림이 슬랙으로도 전송되도록 하여, 업무툴과의 연결성을 높였어요.

Landing Page

HEHE 타운의 랜딩페이지는 테스터들의 피드백을 반영하며 총 6번의 크고 작은 개편을 거쳐 완성되었어요.

랜딩페이지를 디자인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건, 사용자가 랜딩페이지를 통해 서비스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어요. 처음엔 쉽고 직관적이라 생각했던 첫 번째 버전이었지만, 테스트를 거치며 대다수의 사용자들이 타운을 다르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이 과정에서 리서치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고, 우리가 전하고 싶은 가치를 더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여러 번 수정이 이루어졌어요.

페이지를 열면 가장 먼저 감성적인 비주얼과 쉽고 친근한 문구가 눈에 들어와요. 우리는 타운을 통해 ‘행복’과 ‘재미’라는 감정적인 가치가 팀 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실험하고 싶었어요. 그렇기에 랜딩페이지는 단순한 소개가 아니라, 타운이 전하고 싶은 철학과 메시지를 온전히 담아내는 공간이 되어야 했어요.

And Some More…

광고 시안

서비스 소개서

Design System

Design 타운 서비스의 초기 기획 단계부터 런칭까지 전 과정에 걸쳐 주도적으로 팀을 이끌었어요. 단순히 디자인 작업에 그치지 않고,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시장조사를 진행하며, 사용자 리서치를 통해 서비스의 방향성을 구체화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직접 수행했어요.

개발자와의 원활한 협업을 위해 화면설계서를 작성하며 서비스 구조를 설계해보기도 했어요. 이를 통해 단순히 비주얼 디자인을 넘어, 프로덕트의 기능적 완성도와 사용자 경험을 깊이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죠.

이 과정에서 제작한 자료들도 다양해요. 광고 시안, 서비스 소개서, 화면 설계서, 리서치 기획안, 인터뷰 질문지, 인터뷰 분석 가이드 등 수많은 시도를 거치며 배움을 얻었어요.

컨시언스파트너스 ᅵ 대표 : 유승현 ᅵ cx@conscience.partners ᅵ 사업자등록번호 : 779-86-03107 ᅵ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유승현

본사 : 경기도 구리시 갈매중앙로 190, D동 402호 ᅵ  기업부설연구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 한양대학교 코맥스타운

© 컨시언스파트너스 2024. All rights reserved

컨시언스파트너스 ᅵ 대표 : 유승현 ᅵ cx@conscience.partners ᅵ 사업자등록번호 : 779-86-03107 ᅵ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유승현

본사 : 경기도 구리시 갈매중앙로 190, D동 402호 ᅵ  기업부설연구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 한양대학교 코맥스타운

© 컨시언스파트너스 2024. All rights reserved